두 확률변수 X 와 Y 의 결합확률분포에서 공분산과 상관계수 구하기 2-수리통계
1. 두개의 확률변수간의 공분산을 구하기 위해서 계산하기 1) 이산형 확률변수 2) 연속형 확률변수 2. 다음...
blog.naver.com
http://kjh44004.blogspot.com/2014/05/blog-post.html
[확률과정론]공분산과 상관계수
[공분산과 상관계수] 공분산(covariance )은 2개의 확률변수의 상관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. 이 변수들의 상관관계에 따라 양수값과, 음수값으로 표현이 가능하다. 그러나, 2개의 변수의 측정 단위의 크기에 따라 값이 달라지므로 상관분석을 통해 ...
kjh44004.blogspot.com
https://kongdols-room.tistory.com/110
데이터 추출(array, to_numpy, values)-pandas(8)
파이썬 버전 3.7 기준 pandas 버전 0.25.1 기준 Series에서의 배열 데이터 추출 본 포스팅에서는 DataFrame이나 Series의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추출할 수 있는 array, to_numpy, values 메서드들에 대해 알아본다...
kongdols-room.tistory.com
to_numpy를 써야하는 이유
'기초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대 우도 추정법(MLE) 예시 (0) | 2019.12.12 |
---|---|
MLE(Maximum Likelihood Estimation)와 MAP(Maximum A Posterior) (0) | 2019.12.11 |
로그 함수의 사용 의도 (1) | 2019.12.11 |
베르누이 분포(Bernoulli Distribution) (0) | 2019.11.26 |
가우시안 분포(Gaussian Distribution) (0) | 2019.11.26 |